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7)
2.3 네트워크 기기 2.3.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범위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다. 물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와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 등이 있다.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기기는 하위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인터넷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물리 계층: NIC, 리피터, AP 2.3.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L7 스위치 스위치는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 로드밸런서라고 하며 서버의 부하를 분산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들을 뒤쪽의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트래픽 증가를 목표로 함 URL..
[백준 파이썬] 5014번 스타트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5014 5014번: 스타트링크 첫째 줄에 F, S, G, U, D가 주어진다. (1 ≤ S, G ≤ F ≤ 1000000, 0 ≤ U, D ≤ 1000000) 건물은 1층부터 시작하고, 가장 높은 층은 F층이다. www.acmicpc.net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f, s, g, u, d = map(int, input().split()) visited = [0]*(f+1) q = deque() q.append(s) visited[s] = 1 while q: current = q.popleft() if current == g: break for n i..
2.2 TCP/IP 4계층 모델 (2) 링크계층 링크 계층은 전선, 광섬유, 무선 등으로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장치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이를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물리 계층은 무선 LAN과 유선 LAN을 통해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을 말하고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에러확인, 흐름제어, 접근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을 말함 유선 LAN 유선 LAN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이라는 프로토콜을 따르며 전이중화 통신을 쓴다. 전이중화 통신 전이중화 통신은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함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눠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현대의 고속 이더넷은 이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 CSMA/CD 이전에는 유선 LAN에 '반이중화 통신'..
[백준 파이썬] 1850번 최대공약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850 1850번: 최대공약수 모든 자리가 1로만 이루어져있는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와 B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가 111이고, B가 1111인 경우에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1이고, A www.acmicpc.net import math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a, b = map(int,input().split()) print('1'*math.gcd(a,b)) math.gcd로 최대공약수를 구한 후 문자열 1을 최대공약수 개수만큼 곱한다.
2.2 TCP/IP 4계층 모델 (1) 2.2.1 계층구조 TCP/IP 계층은 네 개의 게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한다. 응용 계층(application 계층) FTP, HTTP, SSH, SMTP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이다. FTP: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 SSH: 보이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HTTP: world wide web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기초이자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데 쓰는 프로토콜 SMTP: 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통신 프로토콜 전송 계층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
[프로그래머스 파이썬] Lv2. 멀쩡한 사각형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204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import math def solution(w,h): return w*h-(w+h-math.gcd(w,h)) 참고한 블로그: https://xxuna.tistory.com/41
2.1 네트워크의 기초 2.1 네트워크의 기초 네트워크란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지 않은 집합체를 뜻함 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or 무선을 의미 2.1.1 처리량과 지연시간 좋은 네트워크는 많은 처리량을 처리하고 지연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춰야한다. 처리량 처리량이란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이다. 단위로는 bps(bits per second) 사용 처리량은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음 트래픽은 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함 지연시간 지연 시간은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을 말하고 어떤 메세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
[백준 파이썬] 2493번 탑 https://www.acmicpc.net/problem/2493 2493번: 탑 첫째 줄에 탑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1 이상 5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N개의 탑들의 높이가 직선상에 놓인 순서대로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탑들의 높이는 1 www.acmicpc.net 1. 통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stack = [] result = [0]*n for i in range(n-1, -1, -1): while True: if stack and stack[-1][0] < arr[i]: value, idx = stack.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