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2.2 TCP/IP 4계층 모델 (1)
운으로
2022. 8. 24. 01:49
2.2.1 계층구조
- TCP/IP 계층은 네 개의 게층을 가지고 있으며 OSI 7계층과 많이 비교한다.
응용 계층(application 계층)
- FTP, HTTP, SSH, SMTP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이다.
- FTP: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
- SSH: 보이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 HTTP: world wide web을 위한 데이터 통신의 기초이자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데 쓰는 프로토콜
- SMTP: 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인터넷 표준 통신 프로토콜
전송 계층
-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의 중계 역할을 한다. TCP, UDP 등이 있다.
- TCP는 패킷 사이의 순서를 보장하고 연결지향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해 신뢰성을 구축하여 수신여부를 확인하며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
- UDP는 순서를 보장하지 않고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며 단순히 데이터만 주는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사용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
- 각 패킷에는 가상회선 식별자가 포함되며 모든 패킷을 전송하면 가상회선이 해제되고 패킷들은 전송된 순서대로 도착하는 방식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
- 패킷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며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가며 순서가 다를 수 있음
TCP 연결 성립 과정
- TCP는 신뢰성을 확보할 때 '3-way handshake'라는 작업을 진행한다
- 1) SYN 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ISN을 담아 SYN을 보낸다. ISN은 새로운 TCP 연결의 첫 번째 패킷에 할당된 임의의 시퀀스 번호를 뜻함
- 2) SYN + ACK 단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을 수신, 서버의 ISN을 보내며 승인번호로 클라이언트의 ISN + 1을 보냄
- 3) ACK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SN + 1한 값인 승인번호를 담아 ACK를 서버에 보냄
- 3-way handshake과정 이후 신뢰성이 구축되고 데이터 전송이 시작됨 TCP는 이 과정이 있어 신뢰성이 있는 계층이고 UDP는 이 과정이 없어 신뢰성이 없는 계층이다
TCP 연결 해제 과정
- TCP가 연결을 해제할 때는 4-way handshake 과정이 발생
-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닫으려고 할 때 FIN으로 설정된 세그먼트를 보낸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는 FIN_WAIT_1 상태로 들어가고 서버의 응답을 기다린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ACK라는 승인 세그먼트를 보낸다. 그리고 COLSE_WAIT 상태에 들어감 클라이언트가 세그먼트를 받으면 FIN_WAIT_2 상태에 들어감
- 서버는 ACK를 보내고 일정 시간 이후에 클라이언트에 FIN이라는 세그먼트를 보냄
- 클라이언트는 TIME_WAIT가 되고 다시 서버로 ACK를 보내서 CLOSED 상태가 됨 이후 클라이언트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대기한 후 연결이 닫히고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모든 자원의 연결이 해제됨
- 연결을 바로 닫지않고 일정 시간 뒤에 닫는 이유는?
- 1) 지연 패킷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 패킷이 뒤늦게 도달하고 이를 처리하지 못하면 데이터 무결성 문제 발생
- 2) 두 장치가 연결이 닫혔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LAST_ACK 상태에서 닫히면 다시 새로운 연결을 할 때 장치는 LAST_ACK 상태이기 때문에 접속오류가 생김
인터넷 계층
- 인터넷 계층은 장치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패킷을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
- IP, ARP, ICMP 등이 있으며 패킷을 수신해야할 상대의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 전달
- 상대방이 제대로 받았는지에 대해 보장하지 않는 비연결형적인 특징 가짐